Research Data (Law of the Sea)
"A study on International Legal Issues
as to the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by Eun-Su Ko
✏️
Research Analysi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Part 13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marine scientific research, yet there has been no definition of it. Due to the development of marine science technology. the question of whether marine scientific research regulations that require the consent of coastal states are applicable to other kinds of marine data collection activities,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methods and data collection for 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hydrographical survey.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search and survey requires objec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ature and operation method,, and the purpose or motivation to perform these activities are required, but these are not defined within the UNCLOS. Thus, there is a question of how to apply the relevant provisions. On the other hand, military surveys tend to be discussed as a category of military activity rather than a distinction from marine scientific researc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maritime powers argue that States can conduct hydrographic surveys and military surveys as marine scientific research without the consent of coastal states. They can distinguish between ‘research’ and ‘survey’ and both marine data collection activities are subject to the freedom of navigation and “other internationally lawful uses of the sea related to these freedoms” as defined in Article 58 (1) of the UNCLOS. Therefore, survey activities are not considered to be under the jurisdiction of coastal states with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n the other hand, coastal states which are developing countries argue that in their exclusive economic zones, both hydrographic and military surveys, which are investigations of phenomena of the oceans, fall under the category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are subject to national security in accordance with “other rights and duties provided for in this Convention” in Article 56 (1) (c), where a survey that threatens the coastal area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oastal state. This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that would not have occurred if the definition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was clear, or at least could be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state practices that require consent for hydrographic surveys of other countrie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re not as common as to be regarded as international customary law. It may interpret research and survey as separate because drafts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activities, and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y intended a developmental interpretation of surveying. However, since the results of hydrographic surveys are used for economic purposes and “due regard” for the coastal state is required in Article 58 of the UNCLOS, countries are required to seek consent from coastal states. Meanwhile, the military survey is not a defined term in the UNCLOS. Military surveys are a problem that should be discussed as part of military activities, although conducting marine scientific research for “peaceful purposes” in Articles 240 and 246 of the UNCLOS does not prohibit military purposes. Military surveys are part of military activities, and it is possible to declare the exclusion of compulsory jurisdiction in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within the UNCLOS. There is no actual resolution, because the question of military surveying is a ques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56, which defines the rights of coastal state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nd Article 58, which defines the rights of other countries. However, each country should strive to build trust and enhance transparency. It requires compliance with bilateral agreements and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military activities.
"배타적 경제수역 내 해양과학조사를 둘러싼 국제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고 은수
✏️
연구 분석
유엔해양법협약 제 13부에서는 해양과학조사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지만 그 정의에 대한 규정은 없다. 해양과학기술의 발달로 수로측량과 해양과학조사의 방법 및 수집 자료가 유사해지면서 연안국의 동의가 필요한 해양과학조사의 규정이 다른 종류의 해양자료수집활동에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해석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두 활동의 구분을 위해서는 성질이나 운용 방법,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나 동기를 결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하지만 유엔해양법협약 내 해양과학조사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련 규정들의 적용에 대해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군사측량은 해양과학조사와 구분되느냐의 문제보다 군사활동의 범주로서 논의되는 경향이 있다. 미국을 비롯한 해양주요국들은 해양과학조사로부터 수로측량 및 군사측량을 구분하여 연안국의 동의 없이 수행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해양주요국들은 측량을 수로측량과 군사측량으로 구분하고 두 해양자료수집 활동이 유엔해양법협약 제58조 제1항에서 규정하는 항행의 자유 및 ‘이 협약의 다른 규정과 양립하는 그 밖의 국제적으로 적법한 해양이용의 자유’에 해당하여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연안국의 관할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면, 개발도상국에 속하는 연안국들은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해양의 현상에 대한 조사인 수로측량과 군사측량 모두 해양과학조사의 범주에 해당하며 제56조 제1항 (c)호에서의 ‘이 협약에 규정된 그 밖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국가의 안보에 위협이 되는 측량은 연안국의 관할권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양과학조사의 정의가 명확하였다면 발생하지 않았거나 구분의 기준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타국의 수로측량에 대해 동의를 요구하는 국가의 관행은 국제관습법에 이를 만큼 일반적이지 않다. 유엔해양법협약의 초안자들은 조사와 측량을 분명히 구분하였고 수로측량에 대한 발전적 해석을 의도했다는 단서도 없기 때문에 두 활동을 구분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설득력을 갖는다. 다만 수로측량의 결과가 경제적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유엔해양법협약 제58조에서 연안국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요구되기 때문에 연안국의 동의를 구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한편, 군사측량은 유엔해양법협약 내 규정된 용어가 아니다. 유엔해양법협약 제240조와 제246조 제3항에서 ‘평화적 목적’으로 해양과학조사를 수행한다는 것이 군사적 목적의 조사를 금지한 것은 아니지만 군사측량은 군사활동의 일부로서 논의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유엔해양법협약 내 분쟁해결에서도 강제관할의 배제선언이 가능하여 앞으로도 국가간 대립이 쉽게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군사측량의 문제는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연안국의 권리를 규정한 제56조와 타국의 권리를 규정한 제58조의 해석의 문제로 귀결되기 때문에 단편적인 해결책은 없다. 다만 각 국가들은 신뢰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투명성을 제고해야 하며 군사활동에 관련한 국제규범과 양자협정의 준수가 요구된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Jurisdiction in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 Focused on Arbitration under Annex 7"
by Ji-Ye Kwon
✏️
Research Analysis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in Part 15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s evaluated as an innovative development in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including the provision of compulsory jurisdiction by international tribunals for disputes between states. Ever since, the competent international tribunal under Part 15 has accumulated jurisdiction over maritime disputes among states. However, recently, the arbitral tribunal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Annex 7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a series of cases broke away from the passive attitude of the past arbitral tribunal and actively utilized the jurisdiction of the tribunal and at the same time issued a judgment recognizing the jurisdiction of the court widely. And this drew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garding the judgment of the arbitral tribunal to have jurisdiction, a number of domestic papers present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extension of the jurisdiction of the tribunal. Thus, in this re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from the adop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s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unds for recognition of jurisdiction suggested by the Cour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rbitral tribunal presented a changed jurisprudence for jurisdiction rather than maintaining the general opinion at the time of its adoption o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particular, the arbitral tribunal newly interprets the terms and conditions under which compulsory procedures can be invoked in disputes and the restrictions and exceptions to the application of compulsory procedures, as a result of which the jurisdiction of the arbitral tribunal can be widely recognized. Therefore, provided the disputes are brought unilaterally, the States must actively prepare for the disputes that does not fall under the jurisdiction of international tribunals. Republic of Korea, which could face potential maritime disputes as well, as of now will ne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jurisprudence of the court for possible lawsuits.
"유엔해양법협약 분쟁해결절차의 재판관할권 성립에 관한 연구 :
제 7 부속서에 의한 중재재판을 중심으로"
권 지예
✏️
연구 분석
유엔해양법협약 제15부의 분쟁해결절차는 국가간 분쟁에 대한 국제재판부의 강제관할조항을 포함하여 국제해양법의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제15부에 따른 권한 있는 국제재판부는 국가들의 해양분쟁에 대한 관할법리를 축적해왔다. 그런데 최근 유엔해양법협약 제7부속서에 따라 설립된 중재재판부가 재판부의 관할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재판부의 관할권을 넓게 인정하는 판결을 내놓아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러한 중재재판부의 관할권 보유 판단에 대하여 대부분의 국내 논문은 재판부의 관할확대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재판부가 제시한 관할권 인정 근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법 협약의 채택에서부터 해석 및 적용의 발전 과정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재재판부는 유엔해양법협약에 대한 해석 및 적용에 대하여 채택 당시의 일반적 의견을 유지하기보다 관할권에 대해 변화된 법리를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재재판부는 특히 분쟁에 대한 강제절차가 발동 될 수 있는 조건 조항 및 강제절차 적용의 제한과 예외 조항을 새롭게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 중재재판부의 관할권을 넓게 인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국가들은 자국이 원치 않는 분쟁이 일방적으로 제소되어 국제재판부의 관할을 받게 될 것을 적극 대비해야 할 것이며 잠재적 해양분쟁국인 한국 역시 제소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해 재판부의 법리를 바탕으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